폭스바겐, 오염물질 배출량 40배 눈속임 혐의로 180억달러 벌금 직면 ┏ 자동차 소식


미국 EPA(환경보호청)는 폭스바겐이 디젤차들에 소프트웨어 조작으로 배기가스 오염물질 배출량 테스트를 눈속임해왔다고 발표했습니다. 오염물질 배출량 테스트가 보통 실험실 내 다이노미터 위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악용한듯 합니다. ESC가 이와 같은 테스트 주행상황을 감지할 때에만 배기가스 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유효화시키고, 일상 주행 상황에서는 무력화시켜서 NOx(질소산화물)를 기준치보다 최대 40배 많이 배출시켰다는 것입니다.


보통 위와 같이 NOx 최다 배출구간에서 가장 우수한 연비를 뽑아낼 수 있는데, 세계 자동차 배출가스 관련 법규가 강화되어가면서 NOx를 무작정 많이 배출시키면서 연비 향상을 이끌어낼 수는 없는 일입니다. 이러한 맹점을 폭스바겐은 소프트웨어 조작으로 악용해버렸다는 것이죠. 배출가스 테스트 내지 차량검사를 할 때에만 성능과 연비를 조금 손해보게 하고, 일상 주행에서는 NOx를 많이 배출시키면서 성능과 연비를 최적화하여 소비자들에게 "폭스바겐 디젤은 오염물질 배출량도 적고 연비도 우수한 최고의 친환경차"라는 거짓 착시를 심어준 것이죠.


"폭스바겐은 실연비가 제원상 연비보다도 더 우수하다"라는 일련의 디젤뽕 반응들. 사실 저 "우수한 실연비"라는 것이 결국 대기중에 NOx를 기준치보다 40배나 넘게 뿜어대면서 얻어낸 것일 뿐입니다. 소비자들 입장에선 당장 자신들의 지갑과 관련된 연비수치만 눈에 들어오지, 눈에 보이지 않는 오염물질 실 배출량과 환경파괴의 정도가 어떤지까지는 알 리가 없겠죠. EPA의 명령대로 항상 배기가스 오염물질 저감장치가 작동하게끔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게 된다면 해당 폭스바겐 디젤 차종들의 실연비 및 실성능 저하는 불 보듯 뻔한 상황.

이번 폭스바겐 디젤게이트에 해당되는 차종은 4기통 2.0리터 디젤 엔진(TDI)을 탑재한 2009~2015년식 비틀, 골프, 제타, 아우디 A3 및 2014~2015년식 파사트까지로, 총 약 48만 대 규모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디젤차가 썩 대접받지 못하는 분위기라지만, 폭스바겐 북미법인 판매량에서 디젤차의 비중은 나름 20%나 되었습니다.


머플러에 흰 면을 대고 검댕이 묻어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며 자사 디젤차들이 친환경적임을 강조했던 폭스바겐 북미법인의 클린디젤 광고 캠페인. 폭스바겐 북미법인 유투브 계정은 EPA의 발표 이후 하루이틀 사이에 위 광고를 모두 삭제하였습니다. 이 광고도 소프트웨어 조작해서 찍었으려나

마틴 빈터콘 폭스바겐 CEO는 공식 성명을 통해 이번 사건에 책임을 통감하고 조사에 투명하게 협조할 것임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사태가 해결되기 전까지 문제의 폭스바겐/아우디 디젤 소형차종 판매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EPA는 이번 사건과 관련하여 판매된 차량 1대당 최대 37,500달러의 벌금을 매길 수 있고, 미국의 해당 디젤차량 등록대수를 곱해보면 최대 180억달러(한화 약 20조원)에 달합니다. 더불어 미국에서 사태가 터진만큼 클린디젤 기술의 선두자를 자처했던 폭스바겐 북미법인의 기만 행적들에 대해서도 법정 공방이 오갈 것이겠고요. 2015년 전반기 판매량 세계 1위를 찍어 앞으로도 장래 유망할 것만 같았던 폭스바겐그룹의 향후 미래에 적잖은 타격이 예상됩니다.


덧글

  • 계란소년 2015/09/21 19:48 #

    미국 시장은 포기하고 철수하는 게 나을지도…
  • 아방가르드 2015/09/22 23:38 #

    토요타가 미국에서 리콜사태로 한방 쎄게 맞고도 버텼던 전례를 들면서 폭스바겐의 타격이 그리 크지 않을 거라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는데..
    북미 시장에서의 폭스바겐은 이미 현대차보다도 볼륨이 작은데다가 그 작은 비중의 20%를 디젤로 벌어먹고 살던 회사라서.. 정말로 위험하죠
  • 폭망 2015/09/23 08:25 # 삭제

    현대차는 커녕, 기아차보다도 판매량이 뒤진답니다...
  • 위장효과 2015/09/21 16:18 #

    매장이나 광고등에서 친환경이라는 이야기는 귀에 박히도록 들었고, 몰아보니까 연비도 좋으니 이거야말로 진짜 괜찮은 차!!!

    이랬는데 알고보니 대형 사기극...

    저 글 쓴 사람들, 이제 뭐라고 할지 궁금합니다.
  • 아방가르드 2015/09/22 23:48 #

    미국시장용 차만 그런거 아니냐는 논리를 열심히 펴대시다가 오늘날짜로 전세계 1100만대 규모로 SW가 조작됐다는 소식이 나오자마자 급반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위장효과 2015/09/23 07:18 #

    그래도 급반전했군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저거 기사마다 흉기까들이 달려들어서 그노무 흉기차 부식에 매연에 어쩌고 난리던데...그 논리대로라면 국민차도 흉기차 못지 않은 대량살상병기던데 말입니다.
  • W16.4 2015/09/21 16:45 # 삭제

    1. EPA의 명령대로 항상 배기가스 오염물질 저감장치가 작동하게끔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게 된다면 해당 폭스바겐 디젤 차종들의 실연비 및 실성능 저하는 불 보듯 뻔한 상황.
    //
    공인 성능, 연비는 오염 저감장치 제대로 작동하는 상황에서 잰 걸까요? 그렇다면, 성능,연비는 원래 사양대로 돌아가겠고요. 혹시, 오염 측정과 연비 측정을 따로 인식해서 작동했으면, SW 바꿔서 연비와 성능이 떨어지겠네요.

    2. 미국에서 디젤차가 썩 대접받지 못하는 분위기라지만, 폭스바겐 북미법인 판매량에서 디젤차의 비중은 나름 20%나 되었습니다.
    //
    생각보다 비율이 많이 높군요.

    3. 한국에 들어온 VW,아루디 디젤도 확인해봐야 겠습니다.

    4. 연비,성능 떨어진다고 SW 업데이트 안 받으려는 사람도 나올 겁니다. 소비자 보상은 업데이트 받은 사람에게만 주는 방법도 생각해봐야 겠습니다.

    5. 뽐뿌에서 보니 말씀하신 벌금말고도 더 있나 봅니다. 친환경차 보조금도 이자까지 토해내야 하고, 사기로 보조금 받은 데 대한 벌금도 있을 거랍니다. 소비자 보상에, 차가 고쳐질 때까지 대신할 렌트카도 줘야 할 거라네요.
  • W16.4 2015/09/21 17:08 # 삭제

    6. VW,도요타와 세계구 짱을 다투는 GM은 키박스 스위치 불량으로 100명 넘게 죽고, 스파크 문틀 녹이 나서 난리지요. 도요타도 카페트로 뻘짓 했고요. 이런 병신력 균형이 있으니, 상위권 순위가 잘 안 바뀌나 봅니다.
  • W16.4 2015/09/21 20:50 # 삭제

    7. 검댕 선전은 따져보면 뻥은 아닌 듯 합니다. 검댕은 미세 먼지 때문일텐데, 문제 된 NOx는 검댕과는 별 관계 없을 테니까요.
  • W16.4 2015/09/21 22:57 # 삭제

    8. 현기도 (시제품이지만) 디젤 하이브리드가 있긴 하네요. 실제로도 나오면 좋겠습니다.
    디젤 하브라면, 엔진은 대부분 최고 효율 구간에서 돌텐데, 마침 거기가 NOx 제일 많이 나오는 곳이네요. 어떻게 하려나요?

    15.09.21 11:52 | 추천 0 | 조회 7824아랫글 윗글
    보배드림 작성글 보기
    기아차 K5 왜건, 터보 및 PHEV 탑재한다
    http://m.bobaedream.co.kr/board/bbs_view/nnews/157442/2/1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동력계도 탑재한다. 성능은 미정이지만 컨셉트카의 경우 1.7ℓ CRDi 엔진과 전기모터가 결합하고 48V 배터리가 탑재된 'T-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장착했다.
  • 아방가르드 2015/09/22 23:55 #

    1. VW 공식성명 읽어보니 SW는 조작했지만 배기가스와 성능엔 변화가 없었다고 합니다. 이 무슨 유체이탈 화법인지;

    2. 타 메이커들은 미국시장에서 아예 디젤을 포기했거나 있어도 한 5% 미만 비중 정도 가지는게 전부였기에.. 폭스바겐이 좀 특이 케이스였죠

    3. 환경부가 실제로 조사 들어간다고 했습니다. 폭스바겐 코리아는 한국시장용은 북미시장용이랑 달라서 관계없다는 입장..이었는데, 독일 본사에서 글로벌 1100만대 규모의 SW조작을 인정해버렸으니 어떻게 돌아갈지 흥미진진하네요

    4. 그런경우는 정기차량검사에서 잡아다 처벌해야겠죠.

    5. 1~2mpg 차이만으로도 법정공방 엄청 크게 벌이는 나라인데.. 이번 사건은 정말로 볼만할 것 같습니다.

    6. 그러고보니 GM 키박스 스위치 결함 10년 은폐, 100여건 사망사고 초래로 인한 벌금이 VW 디젤게이트 최대 예상벌금의 반의 반만큼도 안되네요. 아무리 법이 엄한 나라라 해도 팔이 안으로 굽는 걸까요..
  • W16.4 2015/09/24 17:00 # 삭제

    9. 한국 정부 입장이 참 끝내주네요. 복지부동, 무사안일 대표 사례로 교과서에 올려야겠습니다.

    홈 > 칼럼·분석 > 기자수첩
    [기자수첩] 폭스바겐∙아우디 배출가스 꼼수 사건, 5가지 핵심
    김한용 기자 | hy.kim@motorgraph.com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5.09.22 23:51:18
    http://www.motorgraph.com/news/articleView.html?idxno=7648

    5. 우리나라에는 어떤 일이 벌어지나..."알고 있었고, 우리도 조치할 것"
    환경부 박용희 연구관은 지난 7월 "최근 자동차들은 단순한 기계가 아닌 컴퓨터"라면서 "제조사들이 연비나 배출가스, 소음 측정 구간에만 최적화 되도록 전자적인 제어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속히 RDE(실제 주행모드)를 시행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우리나라 각 부처도 미국에서 벌어진 이번 사건을 미리 예측하고 있었던 겁니다. 미국에서만 벌어지는 일만은 아닌만큼 국내서도 연비, 배출가스, 소음 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조작하는 일은 없는지 조사하게 될거라는 전망입니다.
    박사무관은 또, "폭스바겐 이외에도 여러곳이 있는데 우리는 그동안 '임의 설정'에 대해서 관행적으로 그럴 수 있다는 입장이었고 미국에서는 문제를 삼은 것"이라면서 "우리도 그렇게 입장을 정했다"고 말했습니다. 또 어떤 업체가 있느냐는 질문에 "유로6를 SCR 없이 LNT로만 통과한 업체들 중 여럿이 있다"고 합니다.
  • df 2015/09/27 12:54 # 삭제

    우리나라 정부는 뭘 하는건지...유로5 차량이 더 문젠데, 내년에나 조사하겠답니다

    환경부는 유로5 기준의 디젤차 배기가스 조작 여부는 내년에 조사하겠다는 입장이다.
    http://auto.daum.net/review/newsview.daum?newsid=MD20150927100233006
  • 까마귀 2015/09/21 17:02 #

    진짜 '안걸리면 그만'은 전 세계 어디서나 있군요
  • 아방가르드 2015/09/22 23:56 #

    기업의 양심이니 혼 운운하면서 맹목적인 빠돌이 짓 하는것만큼이나 셀프 호갱되는 일이 또 없죠
  • 아는남자 2015/09/21 17:23 # 삭제

    자동차전문매체라든지 전문블로그라는 곳들마다 어정쩡하게 입다물고 있는 걸 보니 역시 꾸준한 투자의 결실은 언젠가 오기 마련인가 봅니다. 물론 진짜 '전문매체'나 '전문가'에게는 통하지 않겠지만요.
  • 아방가르드 2015/09/22 23:58 #

    그러고보니 초록동네 유명 블로그들에 돈 주고 자기네 좋게 글 쓰게 했다가 벌금 물었던 회사도 VW계열이네요 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
    역시 투자의 결실 돋습니다 ?!
  • 사카키코지로 2015/09/21 17:49 #

    아 진짜 모 자동차 프로그램이 아직도 있었더라면 저거 신나게 깠을텐데...
  • C 2015/09/21 21:42 # 삭제

    아이고 클락슨옹;;;;;
  • 아방가르드 2015/09/22 23:59 #

    VW 차들 방독면 쓰고 리뷰하는 기행을 벌일지도요 ㄲㄲㄲ
  • FC 2015/09/21 17:54 # 삭제

    가솔린 타면서 이런일로 안도감을 느낄 줄이야... ㅋㅋㅋ
  • 아방가르드 2015/09/23 00:02 #

    승리의 TSI!
  • 사기 2015/09/21 17:56 # 삭제

    명백한 사기극인데, 그들이 뭐라고 쉴드칠 지 궁금합니다.
    하긴 뭐 GM 에어백 스캔들도 국내에선 지나가는 뉴스 취급받았는데, 이것도 그렇게 취급받을지도요 
    에어백도 안터지거나 폭발하고, 점화스위치 결함 10년을 은폐해서 170명 가까이 사망해도 말이죠
    http://media.daum.net/foreign/all/newsview?newsid=20150918034400613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50919023201291

  • 아방가르드 2015/09/23 00:02 #

    VW그룹 전체의 존망이 흔들릴 거라고까지는 별로 생각 않는데..
    VW 북미법인은 정말로 위험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IEATTA 2015/09/21 20:34 #

    날아올라라 주작이여~!
  • OrangeBelt 2015/09/21 23:55 #

    날아올라라 주작이여~!(2)
  • 아방가르드 2015/09/23 00:03 #

    질소산화물과 함께 곱게 나빌레라~
  • 위장효과 2015/09/23 07:26 #

    그 주작 질소산화물로 만들어졌답니다. 이 댓글 내리셔야...(퍼퍼퍼퍽!!!)
  • 언젠가는F40 2015/09/21 20:38 # 삭제

    세상에 공짜는 없지요. 무슨 암이든 완치시키는데 식물인간이 되는 약이라던가. 부작용은 얘기하지 않는 약장수 폭스바겐.
  • 아방가르드 2015/09/23 00:09 #

    http://m.ppomppu.co.kr/new/bbs_view.php?id=car&no=449469
    http://m.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97&l=450268
    허리디스크를 완치시킨다는 말리부는 있긴 합니다만 ㅌㅌㅌ
  • 어른이 2015/09/21 22:03 #

    현대였으면 개썅노므자식들이라고 신나게 까일텐데 VW라 국내서도 어물쩍 넘어가겠죠.
    독일에서도 차들 조사해보니 오염물질배출이 기준치보다 거의다 초과했다고 하니 이건 모든 기업들의 장난질이네요. 진짜 가솔린+하이브리드나 전기차가 답이네요
  • 아방가르드 2015/09/23 00:11 #

    다이나모 위에서만 해왔던 기존 테스트의 허점이 너무 컸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SW 조작까지 해서 기준치 40배의 질소산화물을 의도적으로 뿜게 하면서 연비좋고 잘나가는 클린디젤 드립 쳤던 폭스바겐에 면죄부를 줄 순 없겠지만요
  • FAZZ 2015/09/21 23:00 #

    폭스바겐 북미법인 판매량에서 디젤차의 비중은 나름 20%나 되었습니다.

    어째 이게 더 충격적인데요. 미국에서 폭바 판매량 중 디젤차 비중이 저렇게 컸다니.
    이번기회로 폭바는 진짜 미국시장서 철수하던가 피아트에서 크라이슬러만 인수하던가 해야 할거 같은데 그것만 사기는 불가능 할 거 같고
  • 아는남자 2015/09/22 09:37 # 삭제

    폭바 자체가 미국에서 철수한 뒤로 판매량이 많지 않던 브랜드이기도 했고 2009년인지 그 전해인지부터 클린디젤이라면서 디젤차량을 프로모션했습니다.
  • 아방가르드 2015/09/23 00:13 #

    하도 미국에서 장사가 안되니까 크라이슬러랑 콜라보한게 있었죠.. 라우탄;
    결과적으로 그것도 망하긴 했습니다만 ㅌㅌ
  • 으음 2015/09/21 23:05 # 삭제

    과연 저걸로 끝날 수나 있으련지 모르겠네요. 일단 국가에서는 법규 위반에 징벌적 배상금을 때렸는데 소송 천국 미국에서 저 차를 산 소비자들은 과연 또 가만히 있을까 궁금하네요.
  • 아방가르드 2015/09/23 00:14 #

    SW 강제수정되고 연비 떨어지면 그것도 엄청난 소송꺼리가 되겠죠
    HMA는 평균 1~2mpg 수정하면서도 그 고생을 했는데 질소산화물 40배 뿜던걸 정상화시켜야 하는 VW쪽은 대체 얼마나 떨어질지;
  • 흠냐 2015/09/21 23:53 # 삭제

    독일에서 그림일기를 쓰시는 그분의 반응이 궁금하네요..
  • 흠냐 2015/09/22 12:09 # 삭제

    딴 이야기지만 독일에서 현대차가 지난달 시장점유율 3.86%, 기아차는 2.01%로, 현기차 합산 5.87%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네요...이는 현대차 하나만으로도 르노(3.8%)보다 앞서며 순수 수입브랜드 중 1위의 시장점유율이고, 기아차도 도요타(2.06%)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치라고..이것도 쉬쉬하시거나 아님 별 희안한 견강부회로 결론을 정해놓고 까실듯....http://auto.daum.net/review/newsview.daum?newsid=MD20150922090708006
  • 아방가르드 2015/09/23 00:15 #

    조만간 글 올리실 것 같던데요..
  • 런리쓰일산 2015/09/22 00:21 # 삭제

    현대가 3년전쯤엔가 r엔진 국내출력이 유럽사양보다 높은 이유가 같은 이유때문이었는데 그때 네이버자동차에선 축제분위기였죠
    근데 이번엔 잠잠..사대주의가또!
  • 아방가르드 2015/09/23 00:16 #

    CO2 배출량이 세금과 직결되는 유럽과 달리 우리나라는 배기량만 신경쓰면 그만이다보니 사람들이 친환경성에 대해서는 아무도 관심을 안 가지죠
    우리나라에서도 문제시되어서 VW 차들 강제리콜, SW수정 들어가면 분명히 사후조치 안받으려고 뻐팅기려는 사람들 나올듯..
  • 폭망 2015/09/23 08:30 # 삭제

    그거야 공식적인 수치 자체가 각나라 법규따라 낮았던거고...이건 글로벌 1100만대 가량의 조작 사기극입니다.
  • peta 2015/09/22 00:59 # 삭제

    이런거 참 하기 쉽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현세대 차종들은 에어백 센서에 기본적으로 가속도 측정센서를 내장하기 때문에, 다이노 위에서 시험하면 가속도값이 0이고, 이런 특정 조건에는 본래와 다른 모드를 사용하게 한다든가.. 아니면 다이노시험이 냉간시동이라는 약점을 이용해 몇백초간(EM테스트하는 시간)은 특수한 로직을 작동 시킨다든지..

    그나저나 이와중에도 P모사이트는 겨우 댓글 13개 달고 '미국이 전세계에서 가장 EM규제가 세서 문제된거지 다른덴 상관 없을거다' 하고 넘어가고 러시아 엑센트가 200가까운속도로 처박고 일가족이 사망한 동영상 올리면서 역시 현기차ㅉㅉ 하는 중입니다. 어휴...
  • 아방가르드 2015/09/23 00:18 #

    뭐 이미 구모델이 된 차의 2~3년전 자료 다시 꺼내와서 흉기아웃 염불 부르는 동네도 있더군요 ㅌㅌ
    이러다 스포티지KM 루프강성 테스트까지 또 발굴해올 기세..
  • Yangsim 2015/09/22 09:16 # 삭제

    외국에서는 폭바의 시장점유율 그리 안높은 미국임에도 단 하루만에 폭스바겐 시가총액이 18조나 증발할 정도로 신뢰성을 아예 상실해버린 범죄 기업으로 취급받으며 최대위기상황인데, 한국에선 조용하네요...
    근데 GM이 점화장치결함으로 169명 사망한거 은폐한게 더 양심불량인거 같은데, 이때는 지금보다 잠잼했었던듯...미국기업이라 그런지..
  • 아는남자 2015/09/22 09:41 # 삭제

    아니에요. GM 건도 미국에서 연일 다뤘습니다. 바라사장 청문회 나올 때는 주요 뉴스매체들이 톱뉴스로 보도하기도 했고 실시간 속보도 이어졌어요. 타카타 에어백 사건과 맞물려서 터지는 바람에 좀 희석된 느낌도 없지 않지만요.
  • 폭락 2015/09/22 10:34 # 삭제

    환율 계산 나름이겠으나 여기선 19조라는데..%기준으로 하면 시가총액의 20% 폭락에 육박하는군요...http://auto.naver.com/magazine/magazineNewsRead.nhn?seq=120477
  • 아방가르드 2015/09/23 00:19 #

    GM건은 언론에서는 엄청 조명되고 그랬는데.. 막상 벌금은 지금 VW한테 매겨질 최대 벌금의 1/4도 안되는 수준으로 매겨졌던가 그랬죠
    그런거 보면 미국도 어쩔 수 없나봅니다 ㅌㅌ
  • Yangsim 2015/09/23 09:22 # 삭제

    GM 관련 좋은 시리즈 기사가 있어 링크합니다.
    기사 중간에 시리즈물에 대한 링크들이 있어요
    고작 600원 때문에 죽어야 했던 13명…적반하장 GM (이후 169명으로 확인됬죠) http://m.pressian.com/m/m_article.html?no=116104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2&aid=0001999473
  • 작두도령 2015/09/22 10:06 #

    이 건이 아니어도 북미에서 품질 관련 이미지가 썩 안 좋았던걸로 들었는데 나아가 스스로 관뚜껑에 들어갔군요...;;
  • 아방가르드 2015/09/23 00:21 #

    토요타가 리콜대란을 겪고도 건재한게 사실 북미에서의 클라스(판매량, 이미지)가 어마어마했기 때문인데..
    폭스바겐은 판매량이든 이미지든 북미에선 무엇 하나 확고한게 없기에 걱정이 되는게 사실이죠;
  • Yangsim 2015/09/22 11:50 # 삭제

    한국에선 한-EU FTA때문에 배출가스 조작했더라도 리콜 못한답니다...이건 뭐...
    http://auto.naver.com/magazine/magazineNewsRead.nhn?seq=120485
  • 아방가르드 2015/09/23 00:21 #

    VW 국내 판매처 쪽은 모두 저런 식으로 일관하는것같고..
    환경부에서 조사 들어간다 하니 어떻게 나오나 봐야죠
  • 흠냐 2015/09/22 12:11 # 삭제

    이렇게 들통났군요...
    http://auto.daum.net/review/read.daum?articleid=179054&bbsid=27
    국내 한 임원이 예언했다는데...사실일지ㅋ
    http://auto.daum.net/review/read.daum?articleid=179080&bbsid=27
  • muhyang 2015/09/23 00:26 #

    기사 리플이 멋지네요.
  • 아방가르드 2015/09/23 00:31 #

    역시 국내웹에서 자동차 소식이라면 뭐든지 기승전흉이어야 제맛이죠 ㅌㅌ
  • Eraser 2015/09/22 17:19 #

    VW조작사건이 자사 기술/제품개발까지 영향을 미치는 모양입니다. 여파가 더 심각하면 벤틀리 람보 아우디도 위험각도계가 좁혀질지도 모르겠습니다 '~'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num=125584 보드나라

    http://www.kbench.com/?q=node/155356 케벤

  • 아방가르드 2015/09/23 00:24 #

    정말 미묘한 타이밍에 엎어져버린 10단 DSG 개발 플랜;
    뭐 타이밍과 별개로 그냥 다단화에 따른 중량상의 단점이 커서 안될것같으니까 포기한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 Heiz 2015/09/22 20:49 # 삭제

    VW가 시원하게 말아드신덕분에 이제 북미시장에서 저배기량 디젤엔진은 진짜 찬밥을 면치 못하겠군요.

    그보다 북미는 둘째치고 여파가 중국 시장까지 미치면 반발이 만만치 않을텐데요.
  • 아방가르드 2015/09/23 00:25 #

    닛산은 미국에서 신모델 출시하면서 우리는 더럽고 열등한 디젤따위 팔지 않겠습니다 막 이러고 다닌다는 판이니..;
  • 허걱 2015/09/22 21:24 # 삭제

    올것이 왔습니다...48만대가 아니랍니다. 폭스바겐이 드디어 조작된 차가 최소 1100만대임을 실토하였습니다. 회사 망하나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7873965

    폭스바겐이 자그마치 1년 동안 조작 사실을 인정하지 않다가 마지못해 인정했다네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3578081
  • 아방가르드 2015/09/23 00:25 #

    http://eggy.egloos.com/4095857 공식성명문도 아주 일품이던데요 ㅌㅌ
  • 지나가던과객 2015/09/23 00:01 # 삭제

    자동차 업계는 레알 충격과 공포입니다.
    왜 폭스바겐이 저런..걸리면 좠될게 뻔한 짓을...;;;
  • 아방가르드 2015/09/23 00:27 #

    판매 점유율이 너무 낮았던 미국에서 디젤로 반전을 꾀해보려 했던 것이겠죠?
    그 과정에 말도 안되는 치팅을 끼워놓은건 정말 욕먹어 마땅한 일이겠지만요..
  • ㅎㅎ 2015/09/23 00:21 # 삭제

    폭스바겐을 떠나 디젤엔진 자체가 점차 뒤안길로 사라질지도 모르겠네요.
    이제는 유럽에서조차 파리에선 아예 디젤차 자체를 운행금지한다고 하고, 곧 17년 9월부터 유럽에서도 RDE방식으로 배출가스 측정한다고 하는데, 지금 유로6도 다시 테스트해보니 거진 기준치 미달인 상태에서 내후년 기준을 맞출수 있을지...

    여튼 지금 당장 급한불은 폭스바겐이네요 미국내 벌금만 해도 상상이상의 금액인데 리콜도 해야되고 거기에 소비자들 소송까지 걸려오면....
    거기다 독일이나 대한민국등 다른나라들에서도 조사가 들어간다고 하니.... 까딱하면 진짜 위험할지도 모르겠습니다
  • 아방가르드 2015/09/23 00:29 #

    3년 전엔가 골프 7세대 TDI 나온거보고 연비나 CO2배출량이나 프리우스 뺨친다며 하이브리드의 존재 이유를 의심했던 제 과거를 반성합니다 =3=3=3

    벌금은 어차피 이론상으로 가능한 최대 수치니까 거기서 낮출 수 있다 해도.. 바닥에 떨어진 이미지와 신뢰 회복은 정말 오래 걸리겠죠
    이미 주가도 이틀 연속으로 수직 하락중이던데..;
  • rgc83 2015/09/23 10:11 #

    이렇게 유럽 업체들이 열심히 밀어주던 디젤이 지고, 일본 업체들의 삽질과 함께 연비 개선의 한계에 부딪혀 확 가라앉았던 가솔린 하이브리드가 다시 조명받으려나요.
    (...그러고 보니 이렇게 되면 또 디젤 하이브리드는 어떻게 되는 거야... 하이브리드의 연비 개선을 위해선 앞으로 가솔린 하이브리드를 버리고 디젤 하이브리드로 갈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는데, 이렇게 되어 버리면...)

    이대로 쭉 가다간 배터리식 전기자동차의 발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더 커질지도(이쪽은 미국에서 밀어주는 분야이기도 하니.). 연료전지식 전기자동차가 제대로 상용화되기는 아직 한참 멀었습니다만, 배터리식 전기자동차는 이미 열심히 굴러다니니...

    아무튼 폴크스바겐 때문에 디젤 자체가 많이 타격을 입어 버렸네요. 안 그래도 선입견과 편견의 대상이던 디젤에 대해 이런 식으로 나쁜 인상이 박혀 버리면 회복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
    하긴 하이브리드 개념을 배제한 순수 내연기관 차량 쪽에 대해서는 그게 가솔린이든 디젤이든 이전부터 별로 좋은 이미지로는 안 보였었고(이미 아방가르드님 블로그의 1년 전 포스팅( http://avantgarde.egloos.com/4011436 )에서 제가 덧글로 달았던 얘기기도 하네요...), 때문에 최근의 유행을 선도하고 있는 유럽차에 대해서도 약간 인상이 안 좋아진 편이었었는데... (일본차들은 현실을 따라가지 못해서 안 좋게 보인다면 유럽차들은 다소 과도하게 현실지향적이어서 또 마음에 안 들었달까요?)

    여기에 폴크스바겐이 이렇게 쐐기를 박아 버리다니. 순수 전기차의 대량보급이 시작되기까지 지나가야 할 과도기가 어떻게 흘러갈 지 조금 우려되네요.
    어쩌면 그 과도기를 너무 질질 끌지 말고 오히려 빨리 끝내고 순수 전기차로 가능한 한 조기에 가야 하지 않겠느냐는 목소리가 나올 지도...
    (순수 디젤은 이렇게 작살나고 있는 데다 그 영향으로 디젤 하이브리드도 앞으로 어찌 될 지 모르게 되었고, 한편으론 가솔린 하이브리드 쪽은 이미 연비 개선 자체가 지금으로선 막힌 지 오래이니...)
  • 2015/09/23 02:57 # 삭제

    현재 주가 단 이틀만에 40% 빠졌습니다.
    지금 폭스바겐은 확정된 벌금만 21조입니다. 엄연히 소비자들에게 사기를 치고 거기다가 환경 피해까지 40배로 입힌 점을 감안하면 징벌적 손해배상금은 어마어마할겁니다.
    그리고 당연히 해줘야되는 리콜 비용에다 개별 소비자들의 민사소송도 배상해야 합니다. (벌금 제외하고도 이정도 사기면 민사소송 배상만으로도 회사 전체가 껍데기만 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현재도 폭스바겐 브랜드는 순익제로 또이또이 아우디도 코묻은돈 버는 수준이고 포르쉐 브랜드가 폭스바겐 순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니 포르쉐 브랜드가 기형화될 가능성이 더 커질걸로 봅니다) (도요타는 급발진이라는 그당시 회사 자체적으로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 문제를 질질 끄는바람에 벌금과 징벌적 배상금을 냈지만, 폭스바겐은 분명 누구나 뻔히 아는걸 계획적 눈속임으로 사기친거라서 벌금이 감면될 가능성은 훨씬 적고 징벌적 배상이 더 많아질 가능성도 도요타건보다 훨씬 큽니다 한마디로 죄질이 나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미국시장만의 배상 이야기였습니다. 미국보다도 판매량이 많은 유럽시장 독일과 프랑스 이태리 등 유럽 본토에서도 본격 조사가 들어갑니다.
    한국식 '재벌 비즈니스 프렌들리'에 익숙한 사람들이 이 사안의 심각성을 잘 모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심각하게 보는건 폭스바겐이 자기네가 뭔가 특별한 클린디젤 기술이 있는 것처럼 광고를 했지만
    실제로는 그 원천기술을 개발하지도 못했다는게 문제네요. 기술력을 자랑하더니 오히려 기술력이 딸리는게 만천하에 공개됐으니.
    일본 자동차업계가 뭘 몰라서 디젤엔진에 관심을 안두는게 아니었죠. 세금구조에 기생하는 열등생 틈새시장 그게 결국 사라질 디젤의 숙명이라고 봅니다.
  • 폭망 2015/09/23 09:09 # 삭제

    일본업체가 디젤에 관심을 안두는건 주력시장인 미국과 일본에서 가솔린 모델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죠.
    디젤이 인기있는 유럽시장에서는 현기차보다도 판매량이 낮으니까요. 신흥시장은 또 대체연료가 주력인 곳이 많고 하니..
    디젤이 사라질거다! 이거는 전기차때문에 가솔린 사라질거다! 이거랑 다를바 없는 논리입니다.
    폭스바겐은 혼자서 남들은 필수적으로 사용할수밖에 없는 요소수 촉매 방식을 쓰지 않고도 클린디젤 달성했다며 자랑질하다가 조작사기극인게 들통난거구요
    폭스바겐 말고 BMW, 벤츠 등은 요소수 촉매 방식의 정식 방법으로 고연비의 디젤 엔진 제작중이죠.
    비록 실제 주행해보니 유로6 초과하더라~라고 해도 유로5 대비 확연히 감소한 수치이구요.
    무엇보다 산화질소 등은 도시 등 차량 밀집지역에서만 문제가 되나, 전지구적인 돌이킬수 없는 환경재앙으로 현재 환경문제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지구 온난화인데, 
    CO2 배출량은 디젤이 가솔린보다 월등히 우수하죠.
    하이브리드를 대안으로 내세우나, 하이브리드는 말만 친환경이지 그 시스템 제작에 필요한 자원채취 및 폐기 과정에서 엄청난 환경파괴를 일으킵니다.
    현 시스템에서 어떤게 더 환경적으로 우수하다고 하기는 힘든상황입니다.
    결국은 전기자동차나 수소연료전지차로 가는 과도기적 상황이죠. 여기에 쓰이는 전기 자체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할 때까지요.
  • 폭망 2015/09/23 09:09 # 삭제

    추가로 자동차 이야기는 아니지만, 흔히들 친환경적으로 생각하는 발전방식 중에 풍력발전, 파력발전, 조력발전, 지열발전, 태양광발전, 태양열발전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지열발전은 어짜피 지구에서 방사능동위원소의 자동붕괴로 늘 자체생산되어 우주로 버려지는, 지구가 망하기 전까진 계속 나올 에너지를 쓰는거고
    풍력발전, 파력발전, 태양관발전, 태양열발전은 결국 그 에너지의 근원이 태양으로, 이것도 태양멸망 전까진 계속 나올 에너지를 쓰는 것이나
    조력발전은 조금 이야기가 다릅니다. 조력발전은 결국 지구와 달이 상호운동하면서 지구의 자전에너지와 달의 공전에너지에서 나타나는 조력을 에너지로 사용하는겁니다.
    조수간만으로 인해 지구는 점차 자전이 느려지고, 달은 공전속도가 느려져 점차 지구에서 멀어지는데
    조력발전은 이 정해진 한계가 있는 지구자전에너지와 달공전에너지를 갉아먹는거라, 지구 자전을 느리게 하고 달을 멀어지게 만듭니다.
    유한한 지구자전에너지와 달공전에너지를 뽑아다가 인간의 전기로 소모해버리는거죠.
    조력발전소 건설 과정에서 연안생태계 파괴도 심각하구요.. 즉 겉보는 이미지만으로 친환경을 함부로 재단할 수 없다는 거죠
    풍력발전도 단기간은 아니나 장기간 기후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한 연구가 좀더 필요하고 그렇습니다.
  • dhunter 2015/09/23 10:11 # 삭제

    일본 자동차업계가 디젤에 관심을 안 두는건 무능한 미츠비시 정도고.
    토요타는 아벤시스 1.6/2.0D, 야리스 1.4D 팔고 혼다도 비슷합니다. 닛산도 인피니티에 벤츠 엔진 얹어서 팔죠. 마츠다도 요즘 스카이 액티브라고 마케팅 하고 있고요.
  • 2015/09/23 12:30 # 삭제

    폭망님 완전히 잘못된 허위 정보를 가져오셨네요. 아니면 상상하신건지.
    현재 법적 기준 수치와 차량 측정 수치를 아시면 그런말 못하실텐데요.
    http://www.theglobeandmail.com/news/national/volkswagens-deception-and-how-it-was-discovered/article26489354/
    공식적으로 현재 미국 법적 기준보다 매연량이 40배까지 검출되었습니다.
    지금 폭스바겐 차량은 2015년은 커녕 90년대 검은 연기 내뿜던 경유차 법적 기준치도 간당간당한 오염차량을 판매하다 걸린겁니다.

    전세계 자동차업계는 이번 사건이 전세계적인 디젤 엔진 퇴출에 기폭제가 될걸로 보고있습니다.
    왜 경유차라고 안하고 디젤 디젤 그러겠어요. 다 마케팅이고 언플입니다.
    도요타 등 전체 일본 자동차 생산량중 디젤엔진 탑재 차량은 하이브리드보다도 적은 극미한 수준이죠.


  • 폭망 2015/09/23 13:21 # 삭제

    ㅇ// 뭘좀 잘못이해하신듯 하네요. 위에 유로5보단 배출량 낮다 어쩌고 한건 이번에 조작질하다 걸린 폭스바겐 이야기가 아닙니다. 벤츠, BMW 등 다른 회사의 디젤모델 이야기하는거죠. 정석적인 요소수촉매방식의 디젤요. 본인이 이해를 못하시면서 허위니 뭐니... 자기 취향의 어느 한쪽을 띄우기위해 다른쪽을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그런 편협하고 치우친 극단적 사고방식은 별로 공감을 얻지 못합니다. 당장 폭스바겐만 해도 환경기준과 고연비를 동시달성할 수 없으니 조작질한거지, 유로6는 몰라도 유로5를 달성 못해서 그런건 아니거든요. 환경기준에 맞추면 연비가 그간 홍보한 연비에 비해 대폭 하락해서 언플을 못하니 조작질한거죠. 하다못해 디젤이 CO2 배출량에서 가솔린보다 훨씬 적은건 연비만 봐도 알수 있는 기본상식이구요.
  • 2015/09/23 14:42 # 삭제

    취향을 저한테 빗대서 공격하시는데 저는 수치를 보고 이야기한겁니다. 현재 폭스바겐 엔진의 오염물질 배출은 유로 6는 커녕 유로 5 기준에도 택도 없습니다. 본인 말씀이 논리적으로 말이 안된다는 생각은 안하시나요? 연비와 오염물질을 동시에 달성할수가 없어서 조작했다. 그럼 오염물질 배출을 기준치 이하로 낮추면 연비도 낮아지는데 그렇게 되면 디젤의 자랑이라는 낮은 CO2 배출량의 장점도 사라지는 셈이죠. 가솔린엔진보다 나은점이 그럼 대체 뭐죠?
    계속해서 수치등이 올라온 해외 영어자료를 올렸는데 확인 안하시는거 같으니까
    http://redzone.tistory.com/1550
    디젤 엔진의 오염물질 저감 장치는 고장이 워낙 잘나는 배기계이고 그나마 제대로 작동하면 성능과 연비 저감을 가져옵니다. 빠져나가는 공기를 막아서 걸러내니 당연한 일이죠.
    CO2는 오염물질은 아닙니다. 온실가스라서 숲이라도 많이 만들면 됩니다. 경유엔진의 높은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는 공기중에 뿌려지면 다시 주워담지도 못합니다.
    해외에서 그냥 디젤이 끝났다고 하는게 아닙니다. 두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해서 덜덜거리는 시끄러운 엔진도 감수하고 탔지만 두마리 토끼 잡는게 원천적으로 불가능한게 드러난 상황에서 뭐하러 디젤을 고수하는게 오히려 취향에 기반한 편협하고 치우친 극단적 사고 아닌가요?
  • 폭망 2015/09/23 14:44 # 삭제

    이번에 적발된 폭스바겐의 배출치를 가지고 이야기하는게 아니라 다른회사들 이야기하는 거라고 콕 찝어서 알려주는데도 이해를 못하고 혼자 쉐도우복싱하시니...진중권의 명언이 떠오릅니다. "말을 해줘도 알아듣지를 못하니 도저히 이길 자신이 없다." 그리고 산화질소를 외 주어담지 못해요? 자연계에선 결국 분해되는데....CO2야 말로 아무리 나무를 심어도 광합성으로 소실되기 전까지 지구 복사열을 가둬서 식혀지지가 않습니다만? 게다가 지금 열대우림이 아무리 벌목이 심하다 해도 광대한 바다의 규조류가 넘치는판에 광합성할 식물이 부족해서 CO2가 늘어나는게 아닙니다.
  • 2015/09/23 15:00 # 삭제

    방사능 핵폐기물도 자연적으로 소멸됩니다. 질소산화물도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시는건가요? 규제가 왜 있겠습니까?
    사람의 날숨에도 나오는 이산화탄소랑 경유를 태워서 나오는 매연 성분인 질소산화물의 위험성을 동등하게 보시나요? 그것도 취향이라면 존중은 하겠습니다.

    콕찍는거 좋아라시니 콕찍어서 벤츠가 디젤에서 하이브리드로 체제 전환한다는 소식은 들으셨나요?
    http://www.autoblog.com/2015/09/21/hybrids-replace-diesels-mercedes/
  • -_-;; 2015/09/26 01:43 # 삭제

    ㅇ님, "매연 성분인 질소산화물"이라고 쓰셨는데, 매연과 질소산화물은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매연(탄소),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일산화탄소가 배출되는 4대 오염물질입니다. 4가지는 전부 별개입니다.
  • 에린 2015/09/23 21:05 #

    연비와 NOX를 공학적으로 둘 다 잡을 수 없나 보네요
  • 소송 2015/09/23 21:25 # 삭제

    집단소송 러시가 시작되었습니다...ㄷㄷㄷ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50923175918158
  • 세피아 2015/09/27 07:59 #

    폭스바겐 완전 개박살 났고, 마틴 빈터콘 사임하고 그랬슈. ㅎㄷㄷㄷㄷㄷ

    뭐 집단소송은 덤이고 우리나라에서도 조사한다네요. 아마 아시겠지만. =+=
  • 우디 2015/09/28 22:55 # 삭제

  • 가스바겐 2015/09/29 20:25 # 삭제

    2차대전 당시 유태인을 처형하기위해 가스살포장비를 부착한 가스바겐...
    폭스바겐은 당장 이름을 개명해야 합니다!
    가스바겐 다스 오토 ~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애드센스 가로


검색이랑방문자수랑등등

공지사항 겸 방명록 게시판 (링크)

『실시간 접속자 수』


contact to
carrera@hanmail.net

2018 대표이글루_auto

2017 대표이글루_auto

2016 대표이글루

2015 대표이글루

adsense

통계 위젯 (화이트)

1283
660
11924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