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닝 수동 신차의 주인이 된지 1일차의 이야기들입니다. 2년 전에 아반떼AD를 끌고 들어올때와 마찬가지로 모닝도 번호판 달기 전부터도 비를 맞는 운명.. 신차등록대행료 55,000원이 너무 비싸다고 생각되어 동네 인근 썬팅집에 탁송을 시켜두고 2열과 후면 50% 틴팅필름, 하이패스 ECM 룸미러, LED 실내등 시공을 맡겨둔 뒤 작업이 다 완료된 오후에 찾으러 갔습니다.


임시번호판 상태의 차를 직접 끌고 성남 차량등록사업소로 향했습니다. 차량등록사업소의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성남 차량등록사업소는 3천원만 더 내면 번호판 탈부착을 도와주시기에 고민없이 임시번호판 탈거도 부탁드렸습니다.

담당 영업사원이 챙겨주는 문서들과 탈거된 임시번호판을 챙겨간 후, 신차등록 신청서를 작성한 뒤 가져가면 절차는 일사천리인데, 경차는 더더욱 쉽습니다. 경차는 취등록세가 없어서 인지 명목으로 요구하는 2천원만 내면 끝입니다. 아반떼AD 등록할 때엔 취등록세 고지서 받아들고 납부하는 절차가 중간에 있어서 시간이 꽤 걸렸는데, 모닝은 다 생략하고 바로 번호판 고르는 단계로 넘어가더군요. 우연찮게 모닝의 "모" 자를 가운데 둔 번호판 옵션 중 마침 제 핸드폰 번호 뒤 4자리와 정확히 일치하는 번호가 있어서 고민 없이 선택했습니다.

번호를 고른 뒤 차량등록증이 발급되면, 이걸 들고 번호판을 발급받으러 가면 됩니다. 이미 만들어진 것들이라 그런지 재교부와 달리 가자마자 바로 번호판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번호판 가드를 미리 사서 챙겨갔기에, 내는 비용은 발급료 9천원 + 탈부착 수수료 3천원 해서 총 12,000원을 납부했습니다.

뭐 사실 장구류만 가져가면 DIY 가능한 부분이긴 하지만서도 후면번호판 봉인 체결은 요령이 필요하니 저는 늘 맡깁니다. 무엇보다도 시중에서 번호판 볼트를 사려면 3천원보다는 비싼 돈이 들어가는데, 탈부착 수수료만 내면 갖고 계신 것으로 체결해주니 볼트값에 장착비가 더해진다 생각하면 나쁘지 않은 딜.

신차등록이 예상보다 너무 빨리 끝나버려서 간단한 DIY들을 도전해봅니다. 첫 업그레이드 상대는 어두운 곳에서 잘 안보이고 빈티나는 고무 페달들. 풋레스트 자리가 마련되어 있긴 하나 흔한 고무패드 하나 덧대지 않고 바닥 부직포와 같은 재질이라 발 지지력이 떨어집니다.

재료들은 아래와 같이 모비스 순정품으로 준비했습니다.
1. 풋레스트 : K3(YD)용 알로이 풋레스트 (84266-A7200) 7,700원
2. 클러치페달/브레이크페달 : 모닝(SA)용 알로이 페달 (32825-07100) 2천원 미만
3. 가속페달 : 니로(DE)용 알로이 페달 (32730-2H100) 1,430원
풋레스트 자리는 폭이 짧아서 K3(YD)용이 잘 맞고, 클러치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은 같은 형상이기에 동일한 제품을 두개 사서 교체하면 되고, 가속페달은 제 아반떼AD에 DIY한것과 같은 물건입니다. ABC페달은 현대기아차 내에서 체급을 가리지 않고 공유되는 사례가 많아서 쉽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기에 싼맛에 감성마력 올리기 좋은 아이템이죠.

클러치페달, 브레이크페달은 고무 재질의 페달을 벗겨낸 뒤 알로이페달을 분리의 역순으로 "딱" 소리가 나서 떨어지지 않게끔 고정하면 되고, 가속페달은 기존 페달을 건들지 않고 그대로 그 위에 씌우면 됩니다. 풋레스트가 좀 까다로운데, 뒷판의 체결용 돌출부위를 다 제거하여 평평하게 만든 뒤 피스 체결 또는 양면테이프 체결을 하는 방식입니다. 자택에 그라인더 등 장구와 실력이 있다면 DIY도 괜찮겠지만, 커터칼같은 사무용 장비만 가지고 도전하기엔 잘라내야 할 부위도 좀 많고 힘이 많이 들어가니 튜닝샵에 공임을 주고 맡기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경험이 있는 샵이면 알아서 잘 해주시겠죠만은 어쨌든 흔들리거나 떨어지지 않게끔 제대로 고정되어야 함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가난하게 생긴 우레탄 기어봉도 가죽에 하이글로시 재질로 업그레이드된 모닝TA 스포츠팩용 순정품으로 갈아보려 했는데, 형상은 완전히 똑같으나 분리가 안되어 실패했습니다. 직전 모델인 2세대 모닝(TA)의 경우 기어봉을 쉽게 돌려뺄 수 있다는 DIY 후기가 많아 신형 모닝(JA)도 비슷하겠거니 생각했는데, 모닝JA에선 다른 분리법이 필요한듯 싶습니다. 혹시 해보신 분이 계시다면 방법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제, 영암 등 고속도로를 이용해 멀고도 먼 서킷 출입을 자주 할 차인만큼 하이패스도 필수죠. 거치형 제품들도 많이 나오고 있긴 하나, 이따금씩 전력 충전해주는 것도 귀찮고 해서 그냥 모비스 순정 하이패스 ECM 룸미러 중고품을 사서 달았습니다. 하이패스 룸미러를 출고옵션으로 넣고 뽑으면 자동으로 기기등록이 되어 있기에 문제될 게 없지만, 저처럼 번호판 미발급 상태에서 중고로 하이패스 룸미러를 단 경우, 하이패스센터에서 별도 등록 절차가 필요합니다. 톨게이트내 한국도로공사 사무실에선 기기등록이 불가하다고 하여 경부고속도로 부산행 서울TG 근처의 하이패스 센터에서 등록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새차 느낌을 유지한다고 비닐들을 며칠째 그냥 유지하는 분들도 있다던데 새차냄새 빠지는 속도만 늦어지는 것 같아서 발에 잘 채이는 일부분을 제외하곤 첫날에 미련없이 다 떼버렸습니다. 이래도 여전히 새차냄새가 좀 거북스러운데 날 좋을 때 환기 좀 시켜야 하나 싶네요

정가 1000만원도 안 하는 트림답게 옵션상태는 매우 가난한데, 가격을 생각하면 뭐 그래도 있을 건 다 있는 것 같고 질감이나 주행품질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직 시동도 연신 꺼먹으며 열심히 수동 적응 중인데, 차주와 자동차 모두 길들이기가 끝나는대로 제대로 다시 리뷰글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덧글
아방가르드님 달리는 거 볼 때마다 따라다니고 싶은 심정입니다^^
용인 경기가 있으면 좋을텐데 아쉽게도 영암과 인제뿐이라 뵙게 될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아는척 해주시면 저야 감사하죠 ~
2. 뒷유리 썬팅하면, 서킷에서 뒷차 보는 데 문제 없을까요?
3. 대회 규정에서 아래에서 2번째 트림을 요구하나요? 어차피 개조할건데, 깡통 트림이 낫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상주행에도 쓰려는 타협이면 괜찮다고 봅니다.
4. 수동 5단은 요즘 드물지요. 경차 변속기는 단수도 별로 안 늘어요. 오히려 힘 약한 경차 엔진이 변속기를 더 잘게 쪼개야 할텐데요. 얼마 전에 i30 수동 한국판 5단 -> (유럽판처럼) 6단 개조가 유행했는데, 모닝 수동은 단수 늘리는 개조 없나요?
2. 경기차 규정에 명시된 범위내에서 할수 있는 틴팅필름만 시공했습니다. 전면과 1열은 외부에서의 원활한 식별을 위해 안했고, 후열 50%도 뒷쪽 시야에 문제가 없죠
3. 규정에 그렇게 나온건 아니지만 경기차를 만드는데 가장 가성비 있는 트림이 밑에서 두번째의 디럭스입니다. 너무 높은 옵션사양으로 사면 순정부속으로 다운그레이드를 해야되는 상황도 연출되는지라..
4. 성능향상을 위한 임의 개조가 금지된 원메이크라 당연히 안될 일이지만 바깥에서도 굳이 그렇게까지 튜닝하지는 않는것같습니다.
초기형 i30은 6단개조를 많이 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뉴프/클릭 디젤이나 포쿱 등등의 차량들이 6단으로 올리는 경우가 제법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5->6단 개죠
수동5단에서 6단으로 업글하고 왔습니다. (224)이미지
12.03.20 20:26 추천 31 조회 14337
http://m.bobaedream.co.kr/board/bbs_view/best/14284
구형 I30 디젤 수동 6단화 작업했습니다.
7451
2015-02-01 20:29:20 수정일 : 2017-04-29 23:21:03 118.♡.140.37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car/7151677
클릭디젤수동 6단 개조 현대기아소형차 6단개조
2014. 8. 21. 2:2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room6448&logNo=220098620033
I30 5단및 6단추가 작업 현대기아소형차 6단개조
2015. 9. 28. 23:42
http://blog.naver.com/sroom6448/220493994874
현대 변속기 목록입니다. 모닝 수동은 M5EF2 일테고, 제일 가벼운 6단인 M6CF1 이 들어갈지 모르겠네요.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yundai_transmissions#Manual_Transmission_(MT)
근데, 이제 서킷이니 뛰시면 신발은 어떤걸 쓰실건지요? 드라이빙 슈즈를 구입하실건지, 아니면 구두나 스니커 이런 계열로 가실지 그것도 조금 궁금하긴 합니다. 저는 드라이빙 슈즈 가죽 말고 다른 소재로 된 샌들이나 슈즈 둘 다 사용하고 있는데, 겨울은 제외하고 봄 여름 가을에는 괜찮더군요.
아반떼스포츠 수동을 몇차례 얻어타면서 적응은 했는데 막상 제차로 삼고 계속 운전하려니 또 느낌이 다른..
일반적인 트랙 스포츠주행은 아무 운동화나 개인 취향대로 신고 달리셔도 되는데
저는 아마추어 레이스 출전이라 해당경기 규정에 따라야 해서, 방염 인증된 레이싱 슈즈를 신어야 합니다.
방염인증마크 붙는 순간 값이 꽤나 비싼데 시중에 좀 이름있는 브랜드 한정판 운동화들 생각하면 못감당할 정도의 값은 아닌 것 같네요.
이게 번호판을 한번 달게되면 임시번호판과 달리 차를 교환 불가하기 때문에 나온 꼼수라던데. 이런 관행은 없어졌으면 하는데
저는 요즘 수동 차 타고 서울 시내도 잘 돌아 다닙니다.
신형 모닝도 크루즈 컨트롤 스위치만 갖다 박아 주면 기능이 살아 나는지 궁금하네요.
영암까지 다니시려면 기어 노브나 페달보다 이게 더 시급한 필수 아이템 같아 보이는데요..
모닝도 크루즈컨트롤 스위치 박으면 기능 살아납니다. 심지어 볼륨키 버튼박스도 박자마자 인식한다 하여 한꺼번에 작업 예약했네요
수요가 많은건지 주문하고 언제 올지 기약이 없는..
즐거운 서킷 라이프 되시길 바랍니다 :)
M300 스파크 초기형은 풋레스트 자리가 아예 없이 평평해서 플라스틱 판넬같은거 박아다 개조하는 분들도 봤습니다. 그런것보단 낫겠죠 =3=3=3
전 손만 빨고 있었는데 ㅠㅠㅠ
제 수동 스바그에는 풋레스트가 없었죠. 그래도 배기량 키우고 그러고 타고다녔었는데.. 허허 요즘 가끔 그립습니다 OTL
M300 오너분은 지금 JA 클러치도 적응되면 괜찮을거라고 열심히 연습해보라고 하는데.. 그래서 출퇴근길에 일부러 끌고나와보고 있습니다 ㄷㄷ
전 케이블식이 좋았는데... (유압은 자동조정되어서 간극 어저스팅 불가)
금방 익숙해지실 겁니다. ㅎㅎ
드릴로 철판뚫어넣도 박으셧는지 궁금합니당^^
.
.
차도오기전에 이것저것 사서 준비중이네용 ㅠㅠㅋㅋ
양품으로 잘 출고받으시길 기원하고 경기장에서 뵙겠습니다 ^^